히라가나 가타카나의 유래

히라가나(ひらがな:平仮名)

히라가나는 한자의 초서체에서 비롯되었으며 9세기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. 예를 들면 이(以) 의 초서체로부터 이(い) , 가(加) 의 초서체에서 가(か) 처럼 형성되었다.

가타카나(カタカナ:katakana, 片仮名)

한자의 일부분을 취해서 만든 글자인데 예를 들면, 이(伊) 에서 이(イ) , 가(加) 에서 가(カ) 처럼 만들었다. 주로 외래어, 의성어, 의태어, 동 식물의 이름 그리고 강조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한다.

일본인들 중에는 우리가 중국의 한자를 쓰는 동안 우리나라보다 먼저 고유의 문자를 사용했다는 우월감을 은연중에 나타내는 사람들이 있는데 , 히라가나와 가타카나의 유래가 된 한자를 보면 우리나라의 이두식 표기인 구결표기( 口訣表記 ) 등과 유사점이 많다. 이것으로보아 일본인들이 독자적으로 만들어냈다기 보다는 한반도의 영향을 받아 성립되었을 것이라는 게 오히려 설득력이 있는데 히라가나와 가타카나의 유래가 된 한자를 비교하면서 보면 쉽게 이해가 된다.

히라가나
가타카나
安 → あ
阿 → ア
以 → い
伊 → イ
宇 → う
宇 → ウ
衣 → え
江 → エ
於 → お
於 → オ
加 → か
加 → カ
幾 → き
幾 → キ
久 → く
久 → ク
計 → け
介 → ケ
己 → こ
己 → コ
左 → さ
散 → サ
之 → し
之 → シ
寸 → す
須 → ス
世 → せ
世 → セ
曽 → そ
曽 → ソ
太 → た
多 → タ
知 → ち
千 → チ
川 → つ
川 → ツ
天 → て
天 → テ
止 → と
止 → ト
奈 → な
奈 → ナ
仁 → に
二 → ニ
奴 → ぬ
奴 → ヌ
祢 → ね
祢 → ネ
乃 → の
乃 → ノ
波 → は
八 → ハ
比 → ひ
比 → ヒ
不 → ふ
不 → フ
部 → へ
部 → ヘ
保 → ほ
保 → ホ
末 → ま
万 → マ
美 → み
三 → ミ
武 → む
牟 → ム
女 → め
女 → メ
毛 → も
毛 → モ
也 → や
也 → ヤ
由 → ゆ
由 → ユ
与 → よ
与 → ヨ
良 → ら
良 → ラ
利 → り
利 → リ
留 → る
流 → ル
礼 → れ
礼 → レ
呂 → ろ
呂 → ロ
和 → わ
和 → ワ
為 → ゐ(い)
恵 → ゑ(え)
遠 → を
乎 → ヲ
无 → ん
尓 → ン